티스토리 뷰

고려의 무역 – 벽란도, 특징과 교역품, 역사적 의미 관련사진
고려의 무역 – 벽란도, 특징과 교역품, 역사적 의미 관련사진

 

 

고려는 송, 거란, 여진, 일본, 아라비아 등 매우 다양한 나라와 활발하게 무역을 펼쳤습니다. 예성강 하구의 벽란도는 국제 무역항으로 매우 번성하며, 고려의 이름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본문에서는 고려 무역의 특징, 교역품, 그리고 국제 교류의 역사적 의미를 살펴봅니다.

벽란도, 동아시아 국제 무역의 중심지

고려 시대 예성강 하구에 위치한 벽란도는 동아시아를 대표하는 국제 무역항으로 크게 번성했습니다. 벽란도는 깊은 수심과 개경과의 매우 가까운 거리 덕분에 대형 선박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었고, 송나라, 일본, 아라비아, 동남아시아 등 매우 다양한 나라의 상인들이 이곳을 찾았습니다. 고려는 벽란도를 통해서 해상 무역을 적극적으로 장려했고, 외국 상인들에게는 객관(객사) 등 편의시설을 제공하면서 국제 교류를 촉진했습니다. 벽란도에는 송나라 상인뿐 아니라 아라비아 상인들도 자주 드나들었고, 이들은 수은, 향료, 산호 등 서역의 특산물을 팔고서 금, 비단, 종이 등 고려의 특산품을 사 갔습니다.

벽란도는 단순한 무역항을 넘어서 다양한 문화와 정보, 그리고 기술이 오가는 동아시아의 '국제도시' 역할을 수행했으며, 고려의 개방성과 국제성을 상징하는 공간이었습니다.

고려 무역의 특징과 주요 교역품

고려의 무역은 해상과 육로를 모두 다  활용한 개방적이고 실리적인 정책이 매우 특징이었습니다. 송나라와의 교역이 가장 활발했으며, 거란, 여진과는 육로 무역, 일본, 아라비아 등과는 해상 무역이 각각 이루어졌습니다. 송나라에는 비단, 금, 은, 나전칠기, 종이, 먹, 인삼, 자개공예품, 화문석(꽃방석) 등 다양한 고려 특산품이 수출되었고, 송나라로부터는 비단, 서적, 악기, 차, 칠 제품, 옥제품 등 고급 공예품과 생활필수품이 들어왔습니다. 거란과 여진에는 농기구, 곡식, 포목 등을 수출하고, 말, 은, 모피 등을 수입했습니다. 일본과는 곡식, 인삼, 서적 등을 수출하고서 수은, 유황 등을 수입했으며, 아라비아 상인들과는 금, 은, 비단, 종이, 인삼 등을 거래했습니다. 고려의 종이와 나전칠기 등은 품질이 매우 뛰어나 해외에서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무역은 주로 공무역(관청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민간 상인들의 활동 또한  점차 늘어났습니다.

고려 무역의 역사적 의미와 세계로의 확장

고려의 활발한 무역과 국제 교류는 점차 경제적 번영뿐 아니라, 다양한 문화와 기술, 사상의 교류를 촉진하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벽란도와 같은 국제 무역항은 단순한 상업 공간을 넘어서, 세계 각지의 사람들이 모여드는 다양한 문화적 교류의 장이었습니다. 아라비아 상인들은 고려를 '코리아' 또는 '꼬레아'로 서방에 소개하며, 고려의 이름이 유럽에까지 알려지는 계기를 마련했습니다. 송나라, 일본, 아라비아 등과의 교류를 통해서 고려는 새로운 문물과 기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고, 이를 바탕으로 경제와 문화를 발전시켰습니다. 고려의 무역 정책은 실리와 개방, 그리고 국익 추구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다양한 외교 전략을 통해 국제적 위상을 높였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이후 조선의 무역과 외교, 그리고 현대 한국의 국제적 개방성에도 중요한 영향을 남겼습니다.

결론

고려의 무역과 국제 교류는 벽란도를 중심으로 해서  동아시아와 서역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했습니다. 다양한 나라와의 교역과 문화 교류는 고려의 경제적 번영과 국제적 위상을 높였으며, 오늘날 '코리아'라는 이름이 세계에 알려진 배경이 되었습니다. 고려 무역의 경험은 개방과 실리, 그리고 문화적 다양성의 소중함을 알아봤습니다.